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

mysql 정리 # mysql 접속 mysql -u root -p # mysql DB 접근 mysql> use mysql # 기본 권한 조회 mysql> select * from user where user = [사용자ID] # 사용자별 권한 확인 mysql> SHOW GRANTS FOR '사용자계정'@'호스트'; # 접속된 계정 권한 확인 mysql> SHOW GRANTS FOR CURRENT_USER; db생성 : create database 디비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권한 : grant all privileges on 디비명.* to 계정명@'%' identified by '비번'; ← 계정이랑 비번 같이 생성됨. flush privileges; 한글꺠질때 /etc/mysql/my.c.. 2023. 3. 27.
vsftpd란? FTP란? FTP는 TCP/IP 프로토콜 기반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파일을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간결하고 안전하여 처리속도가 매우 빠른 프로그램이다. 대표적으로 vsftpd가 있다. vsftpd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ps -ef | grep vsftpd - 설치되어있지않다면 설치 진행 vsftpd 설치 yum -y install vsftpd vsftpd 설정 vi /etc/vsftpd.conf anonymous_enable=YES 익명 사용자의 접근을 허가 chroot_local_user=YES 현재디렉토리가 /가 되어버림. 즉 다른곳으로 벗어날수가없음. /home/source가 /로 인식되어버림. 절대경로를 사용하고싶으면 NO로 하던가 주석해야함 chroot_list_enable=YES.. 2023. 3. 27.
REST API REST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https://gmlwjd9405.github.io/2018/09/21/rest-and-restful.html 자원 -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것 자원의 표현 - 그 자원을 표현하기위한 이름(DB의 학생 정보가 자원일 때, ‘students’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한다.) 상태 전달 -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를 전달한다. (json, xml이 일반적)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기술과 http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때문에 웹은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수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네트워크상에서 client와 server사이의 통신방식중 하나이다. REST의 구체적.. 2023. 3. 26.
Docker란? Docker 서비스 운영환경을 묶어서 손쉽게 배포하고 실행하는 경량 컨테이너 기술(go언어로 개발됨) 도커를 지원하는 환경은 현재 리눅스밖에없음(그러므로 맥 & 윈도우는 리눅스기반의 경량 가상머신을 띄워놓고 그안에서 컨테이너를 띄우는것) 도커는 이미지를 받고, 실행중인 이미지를 컨테이너라고함 기본적으로 자원제한을 해주지않으면 호스트컴퓨터의 전체자원을 다 사용함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가상머신? vitural box / vmware 처럼 각각의 가상머신을 띄우는거랑 다른가? → 다르다 가상머신은 하드웨어 자체를 가상화 컨테이너는 하드웨어 가상화가 아님(os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 격리되는 환경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라고 생각하면 편함 리눅스라면 실제로 컨테이너 = 호스트의 프로세스 이지만, 맥 & 윈도우는 .. 2023. 3. 26.
JSP vs 서블릿 jsp : java server page의 약자 HTML코드에 JAVA코드를 넣어서 동적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어플리케이션 도구. JSP 가 실행되면 자바 서블릿(Servlet) 으로 변환되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되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웹페이지와 함께 클라이언트로 응답한다. 자바 서블릿(Java Servlet) 서블릿이란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서버측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는 자바 언어를 기반으로 만들지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 Web Application Sever ) 위에서 컴파일 되고 동작한다. JSP VS 서블릿 둘다 하는일은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드는것. 근데 JSP는 HTML에 JAVA코드를 넣는거에 반면, 서블릿은 JAVA코드에 HTML을 넣.. 2023. 3. 26.
HTTP 상태코드 100번대 : 현재 데이터의 처리중인상태 100 : 데이터의 일부를 서버가 받은상태 200번대 : 정상적인 응답 200 : 에러 없이 정상처리 204 : 정상처리되었으나 서버에서 보내줄데이터가 없음 300번대 : 다른 url 처리 301 : 요청된 페이지가 새 url로 변경되었음. 304 : 이미 기존의 데이터와 변경된 것이 없음 400번대 : 서버에서 인식할 수 없음.(클라이언트가 잘못쏨) 400 : 전송된 request에 문제가 있어서 서버가 인식할 수 없음 403 : 서버에서 허락되지 않음 404 : url에 해당하는 자원을 찾을 수 없음 406 : 전송방식이 허락되지않음 (주로 rest에서 자주발생) 500번대 : 서버 내부의 문제 500 : 서버에서 처리시 문제가 발생 502 : 게이트웨이나 프.. 202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