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5 매그니피센트7 매달 1주씩 구매 미국 나스닥을 주도하는 기업7개를 매그니피센트7이라고 칭한다. ISA계좌로는 S&P500, 연금저축계좌로는 SCHD를 매달 월적립 매수를 하고있지만,이번달 부터, 월초에 매그니피센트 7개 기업을 1주씩 사는걸 목표로 하였다. 나스닥을 살까했지만, 이미 S&P500과 SCHD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가지고있기때문에 과감한 투자를 해보려고한다. 각 주식별 1주의 가격은 24.12.29시점으로 아래와 같다.애플 - 255$마이크로소프트 - 430$알파벳 - 192$아마존 - 223$테슬라 - 431$엔비디아 - 200$메타 - 599$이게 말이 1주씩이지, 다합치면 2330$ 로 환율을 계산해보면 한달에 340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테슬라와 애플은 기존에도 몇주를 들고있었고 250만원 세액공제까.. 2024. 12. 29. 자산을 불리기 위해서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산을 굴리지 않는다는것은 정말 바보같은 짓이라고 생각한다. 월급으로 저축을 하여 종잣돈을 불리는것은 맞다. 하지만 월급으로는 자산을 불리는것은 쉽지않다. 2024년 직장인 연봉 실수령액을 보면 연봉 1억을 받아도 세후 월급 650만원정도이다. 650만원, 물론 절대 적지 않은 돈이다. 월급이 1~200만원 정도 증가한다면, 생활수준은 조금 더 풍요롭게 사는것은 맞다. 하지만 월급 1~200더 받는다고 자산 수준은 크게 달라지지않는다. 실제로 월급이 1~200만원 늘어도 저축이 그에 맞춰서늘지는 않는다. 기껏해야 50~100정도 더 느는정도. 자산을 증식하기위해서는 돈이 돈을 버는 구조로 가야한다. 그렇기때문에 우리는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야한다. 주식도.. 2024. 2. 25. 청약(주택청약종합저축) 완벽정리 - 일반분양편 주택청약종합저축 청약은 신분계층 상승하기위한 가장 빠른 방법이다. 청약이란? 아파트 분양을 목적으로 번호표를 뽑기위한 제도 (중고 매매가 아니라 새아파트임) 아파트를 살고싶은사람들이 많기때문에 누구나 살수없도록 청약을 통해 번호표를 뽑는다고생각. 분양 종류는 2개로 나뉜다. 특별공급 - 신혼부부, 생애최초, 다자녀, 노부모부양 일반분양 - 그외 일반적인 공급 2022년부터는 1인가구도 추첨제만 가능하긴하지만 생애최초 특별공급에 지원가능하다..! 분양을 받는 주택 종류는 국민주택 (국가, 지자체, LH, SH, 지방공사 제공) - 좀더쌈 공공분양 공공임대 민영주택 (민간 건설 사업자 제공) - 전용면적에 따라 최소 납입금액이 정해져있긴함. 민간분양 민간임대 일반공급 청약에 당첨되기위해서는 우선 1순위가 되.. 2022. 1. 29. 테이퍼링(tapering)이란? 최근 미국에서 금리인상을 예고하면서 테이퍼링을 시작하였다. 경제학에서 테이퍼링이란 무엇일까? 사람들은 왜 테이퍼링이라는 단어에 민감하게 반응할까? 테이퍼는 '점점 줄어간다' 는 뜻이다. 바지살때도 핏에 종류에 슬림핏, 스트레이트핏, 테이퍼핏 등이 있지 않은가? 테이퍼핏은 엉덩이에서 발목까지 내려오면서 핏을 점점 줄인다는것을 의미한다. 경제에서도 똑같다. 금융위기때 경기가 너무 안좋으면 경기 활성화를 위해 시중에 돈을 유통시켜서 사람들이 소비도 많이하고 돈을 빌려서 사업도 시작할수있도록 금리를 낮춰야한다. 그런데 이미 금리가 최저라면 그땐 정부가 돈을 시장에 풀어야한다. 이렇게 정부가 돈을 열심히 풀어댄덕에 경기는 어느정도 회복이 되었다면 그때부터는 정부가 시장에 돈을 푸는것이 독이된다. 경기는 좋은데 지.. 2022. 1. 24. 주택마련방법 주택은 필수재임과 동시에 가치가 상승하는 경제재이므로 반드시 1채는 마련해야한다. 주택연금을 신청하여 늙어죽을때까지 내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을수도있으므로 노후에도 반드시 필요. 집은 땅위에 짓는다. 땅은 주택만, 농장만, 이런식으로 용도를 정해놓는데, 이것을 ‘용도지역’ 이라고 한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나뉘어지지만, 주택목적은 도시지역만 알면된다. 도시지역은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을수록 비싸진다. 건폐율 - 이땅에 얼마만큼 옆으로 지을수있는가. 즉 100평짜리 땅에 건폐율이 70%라면 최대 70평만 지을 수 있다. 용적률 - 이땅에 얼마만큼 위로 쌓을수있는가. 즉 층수를 말하는것. 주택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단독주택 - 주인이 한 사람인집 / .. 2022. 1.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