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서버14

ftp ftp 패시브 모드가 접속안될때는 리눅스에서 직접 ftp로 들어가줘서 passive모드를 켜줘야할때가 있다. $ ftp 218.xx.xxx.xx 10002 Connected to 218.xx.xxx.xx. 220 Welcome to FTP Server 530 Please login with USER and PASS. 530 Please login with USER and PASS. KERBEROS_V4 rejected as an authentication type Name (218.xx.xxx.xx:con): sadad 331 Please specify the password. Password: 230 Login successful. Remote system type is UNIX. Using binar.. 2023. 3. 26.
ssl https에 curl로 그냥 쏘면 인증에러가남 -k로 무시하던가 curl에 인증서붙여주던가 해야하는데, pksc12로 띄웠다면 아래명령어로 pem파일을 만들어야한다. openssl s_client -showcerts -host localhost -port 6020 baeldung.pem 만들고 —cacert xxxx.pem 명령어로 인증서 추가 curl -v -X DELETE -d '{"name":"sko"}' --cacert rest-keystore.pem -H "Content-Type:application/json" https://localhost:6020/rest/abc?gender=m\\&phone=123123 server: port: 6020 ssl: alias: rest-keystore key.. 2023. 3. 26.
텔넷(Telnet) 통신상태 확인 텔넷으로 포트 통신상태 확인 ping ip주소 : 외부 호스트서버가 네트워크상으로 접근이 가능한지 판별. 1.ping test를 한다. [svr:usr] ping 172.0.0.1 응답없으면(ping이 되지 않으면) firewall에 등록이 되지 않은 것이다. 정상적 결과 172.0.0.1 is alive 2.1.telnet ip port 로 확인한다. [svr:usr] telnet 172.0.0.1 9999 Trying 172.0.0.1... 계속 대기 중이면 방화벽(포트)가 안열린것이다. 2.2 [svr:usr] telnet 172.0.0.1 9999 Trying 172.0.0.1... telnet: 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 Connection refused 바로 .. 2022. 1. 24.
리눅스 관련 잡다한것 /home/dev 폴더기준으로 용량많이 차지하는 20개 du -h /home/dev | sort -h | tail -20 sudo : 뒤에 나오는 명령어를 root에 준하는 권한으로 실행 (ex. sudo mkdir test) su : 계정 전환 su - : 계정 전환 + 환경 변수도 전환 sudo su - test : 루트에 준하는 권한으로 test계정으로 전환하겠다(환경변수도 같이) 그룹 특정 그룹에만 파일이나 폴더를 열람할 권한을 주기위해.. groupadd 그룹명 groupdel 그룹명 tail /etc/group을 통하여 현재 있는 그룹확인가능 유저 아이디 생성시 무조건 그룹도 같이생성됨. test:x:1003:bxm400,bxm300 test라는 그룹을 bxm400,300이라는 두 유저가 참조.. 2022. 1. 24.
WSL2로 SSH접속설정하기 wsl2(우분투) 기준으로 작성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 ssh 서버 설치(ssh 클라이언트는 거의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다고함) sudo apt-get install net-tools 실행하여 ifconfig & netstat 설치 sudo ssh-keygen -A : 처음 ssh 서비스를 구동하면 ssh의 호스트키가 없어서 구동이 안되므로 SSH 호스트키 생성 sudo vi /etc/ssh/sshd_config : //port 22 주석해제??? PasswordAuthentication yes : id/pass로 접근가능한지 여부 (이걸 체크해야함) PubkeyAuthentication yes : 공개키 인증방식으로 접근가능한지 여부 sudo ufw disab.. 2022. 1. 24.
윈도우에 wsl2를 설치해보자 wsl2 (window subsystem for linux2) wsl이란 윈도우에서도 리눅스를 사용할수있게 해주는 윈도우 전용 서브시스템이다. 특히, 기존에 가상화 기능을 지원하지않았다면 도커 데스크탑을 사용할수 없었는데 wsl의 등장으로 도커데스크탑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22년2월부터 부분유료화..) wsl2 설치방법 해당pc가 지원하는지 성능확인 (개발자컴이면 다 될거라고 생각) 관리자권한으로 cmd실행후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 2022.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