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

주택마련방법

by 모띠 2022. 1. 24.

주택은 필수재임과 동시에 가치가 상승하는 경제재이므로 반드시 1채는 마련해야한다.

주택연금을 신청하여 늙어죽을때까지 내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을수도있으므로 노후에도 반드시 필요.

집은 땅위에 짓는다.

땅은 주택만, 농장만, 이런식으로 용도를 정해놓는데, 이것을 ‘용도지역’ 이라고 한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나뉘어지지만, 주택목적은 도시지역만 알면된다.

도시지역은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을수록 비싸진다.

건폐율 - 이땅에 얼마만큼 옆으로 지을수있는가. 즉 100평짜리 땅에 건폐율이 70%라면 최대 70평만 지을 수 있다.

용적률 - 이땅에 얼마만큼 위로 쌓을수있는가. 즉 층수를 말하는것.

주택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1. 단독주택 - 주인이 한 사람인집 / 등기가 한 사람한테만 나오는 집(다가구주택도 포함될수있음)
  2. 공동주택 - 주인이 여러사람인집 / 등기가 여러사람앞으로 나오는집 (아파트, 다세대 연립)

주택마련방법은 총4가지

1. 분양(청약)

   건설사(SH, LH, 국가) 에서 집을 짓고 모델하우스 보여주면서 계약금 10%내고 2~2.5년 정도 걸려서

   중도금을 계속내고.. 입주할때 잔금을 치루는것.

   분양이 저렴함. 중고로팔때는 분양보다는 높게 팔기때문

 

2. 중고매매

   사람들에게 구매. 대부분 이방법일것

   분양과 비교하여 계약금 - 중도금 - 잔금이 굉장히 타이트하게 이루어짐.

   중도금을 조금이라도 상관없이 내버리면 계약 해지가 안됨.

 

3. 경매

   대출이 많이나오는편이다.

   원래 가격에 비해 20~30%에 낮게나오는경우가 많음.

 

4. 재건축 / 재개발 - 재건축은 건물하나를 부순다 / 재개발은 그 일대를 다 부수고 다시짓는다.

   재개발지역은 주민들이 조합을 건설한다. 조합원들이랑 어떤 아파트 브랜드를 회의한다.

   근데 그 사람들한테 조합원입주권을 살수도있음

계약할때 조심해야할부분계약

당사자가 아닌사람이 나온다. 집 등기부등본 꼭떼봐서 소유주를 확인해야함. 등기부등본상의 주인이 이사람이 맞는지를 신분증보고 확인.남편이라고하면 가족관계증명서 확인하고, 위임장 가져왔는지 확인하고.. 꼼꼼해야함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주택청약종합저축) 완벽정리 - 일반분양편  (0) 2022.01.29
테이퍼링(tapering)이란?  (0) 2022.01.24

댓글